김쌤의 공부타파

[ 2018 교육계 이슈 ]

2022학년도 수능, 학종

어떻게 바뀔까?



올 8월 대입개편안…

수능 절대평가화·학종 간소화 주목


2018년 교육계 최대 이슈는 뭐니 뭐니 해도 

8월 발표 예정인 2022학년도 대학입시개편안이다. 

이전과 다른 대입의 룰을 만드는 교육개혁에 

학생·학부모·교사 등 교육주체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그중에서도 최대 관심사는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체제 

개편과 학생부종합전형 개선방안이다. 

수능에서는 절대평가 과목 확대 여부, 

학생부종합전형은 '금수저·깜깜이 전형 논란'에서 

벗어나 학생·학부모들이 납득할만한 

공정성을 확보할 수 있을지가 관건이다.


◇수능체제 개선 포함 대입제도 개편안, 

미룰 수 없는 이유


수능개편은 한 차례 유예됐다. 

교육부가 지난해 8월 두 가지 

절대평가 확대 방안을 담은 

시안(1, 2안)을 제시했지만 

현장의 거센 반발에 부딪히면서다.


1안은 국어, 수학, 탐구는 

상대평가를 유지하면서 

영어, 한국사, 통합사회, 통합과학, 

제2외국어/한문은 

절대평가로 전환하는 방안이다. 

2안은 모든 과목을 절대평가 바꾸는 방식이다.


두 안 모두 현장의 우려가 컸다. 

1안은 상대평가를 하는 

3개 과목에 학습부담이 커지고 

사교육도 쏠리는 이른바 풍선효과가 

나타날 여지도 있었다. 


2안은 변별력 약화를 우려한 대학이 

정시모집을 줄일 가능성이 크다는 지적이 나왔다. 

반대급부로 수시모집에서 

학생부종합전형이 더 커질 것이며 

대학별고사까지 부활해 또다른 사교육을 

부추길 수 있다는 비판이 더해졌다.


논란이 커지자 여당을 중심으로 

'수능개편 연기론'이 고개를 들었다. 

교육계에서도 차선책으로 이를 지지했다. 

결국 교육부는 '수능 개편 

1년 유예'라는 중재안을 선택했다. 


수능개편은 불가피하다. 

올해 고등학교 1학년부터 

적용되는 2015개정 교육과정 때문이다. 

교육과정이 달라졌는데 수능체제가 

그대로이면 현장의 혼란이 생길 수밖에 없다.


2021학년도 수능개편 1년 유예로 

이런 우려가 현실화됐다. 

고1이 치를 당해 수능체제는 

새 교육과정과 미스매치인 상황이다. 

'학교수업 따로, 수능수업 따로'가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많다. 

이쪽저쪽 다 챙겨야 하는 

고1들의 학습부담만 커졌다. 

혼란을 줄이기 위해서라도 

이번 수능개편은 더 미룰 수 없는 상황이다.


그렇다고 수능개편만 할 수도 없다. 

수능개편 방향에 따라 

대학의 수시·정시모집 비중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학생부종합전형의 확대여부가 

최대 관건으로 급부상한다. 

고교 내신 수업에도 영향을 준다. 

한 톱니바퀴처럼 맞물려 있기 때문에 

대입제도를 전반적으로 손질해야 하는 것이다.


수능 어떻게 바뀔까…

전 과목 절대평가 가능성↑


관심을 모으는 수능개편의 방향은 

크게 두 가지로 압축된다. 

기준은 앞으로 대입에서 

수능이 어떤 역할을 할지다.


수능이 지금처럼 학생을 선발하기 위한 

기능을 유지한다면 변화는

 최소화될 것으로 보인다. 

상대평가 과목을 남겨 놓고 

변별력을 확보하는 것이다. 

다만 상대평가 과목의 학습부담 우려, 

공약 후퇴 지적 등이 넘어야 할 산이다. 


대학에서 공부할 역량을 갖췄는지 

확인만하는 도구로 수능의 역할이 

완전히 바뀐다면 상황은 급변한다. 

지금보다 출제과목 수와 출제범위를 줄이고 

전 과목 절대평가를 추진할 가능성이 크다. 

단 정시모집 변별력 확보 방안 마련, 

대학별고사 강화 우려를 해소하는 게 관건이다.


현 상황에서는 대부분 후자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게 교육계 중론이다. 


익명을 요구한 한 입시전문가는 

"최근 대입제도 개편방안을 마련할 교육부 

정책자문위원회 입시제도혁신분과 구성원이 공개됐는데, 

면면을 보면 거의 모든 위원이 그동안 수능 전 과목 

절대평가 전환을 주장했던 인물들"이라며

 "이는 문재인정부 공약대로 입시경쟁과 학습부담을 

해소하기 위해 전 과목 절대평가로 

가겠다는 선언"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반발이 만만찮을 것으로 보인다. 

수능 상대평가 체제를 지지하는 시민단체는 

오는 13일 서울 광화문에서 

대규모 집회를 예고한 상태다. 


대입현장의 혼란도 예상된다. 

수능의 선발기능 유지를 원하는 일부 대학들이 

자체 입시개편안을 만드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의 수능 개편안과 별개로 변별력 

확보를 위한 자구책을 마련하는 것이다. 


'단순·공정'이 키워드…

기재항목 줄이고 

평가기준도 공개할 듯

 

수능개편 1년 유예와 대입제도 개혁의

 도화선이 된 학생부종합전형의 개선안도 관심사다.

학생부종합전형은 내신 등 

교과활동과 동아리·봉사활동·독서 등 

비교과 활동을 두루 반영해 학생을 

선발하는 대표적인 대입 수시전형이다.


정부는 학생부종합전형 개선의 

키워드는 '단순·공정'으로 잡은 상태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달 청와대에서 

열린 국가교육회의 오찬 간담회에서 

"(학생부종합전형 등 대입제도개편안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당사자인 학생들과 

학부모 입장에서 볼 때 공정하고 

누구나 쉽게 준비할 수 있도록 

단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단순'은 학교생활기록부와 

관련 서류 간소화로 이어질 전망이다. 

우선 11개나 되는 학교생활기록부 

기재항목이 대폭 줄어들 가능성이 크다. 

학습부담과 과도한 경쟁을 유발하는 

교내대회 수상경력, 도서명과 저자명만 

기록해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일고 있는 

독서활동상황, 꿈이 시도때도 없이 

바뀌는 청소년기에 불필요하게 

요구하는 진로희망사항 등은 삭제대상이 

될 수 있다고 교육계에서는 보고 있다.


학생부종합전형에서 

활용되던 서류 가운데 

교사추천서는 완전 폐지, 

자기소개서 내 신상기재를 

금지하는 형태로 일부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이미 많은 대학이 퇴출한 

수능최저학력기준도 폐지될 전망이다. 


'공정'은 두 가지 형태로 추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블라인드 면접을 도입하고 그동안 밝히지 않았던 

대입 평가기준 정보를 대학과 

협의해 공개하는 방안이 점쳐진다. 

또 입시부정을 막기 위한 

제재수위도 높일 것으로 보인다.


이범 교육평론가는

 "수능개편 1년 유예를 결정케 한 

학생부종합전형에 대해서는 

국민이 아주 높은 수준의 개선요구를 

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정부나 국가교육회의에 

맡길 게 아니라 청와대까지 나서서 국민이 

납득할만한 획기적인 개선책을 

내놓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자료출처 : news 1